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작년 12월 28일 타결된 한-GCC(걸프협력이사회) FTA에 대하여 FTA 발효(2025년 예정) 이후 우리나라의 주력 사업 방향과 유의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반응형

한-중동 GCC FTA 개요

한 GCC FTA는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쿠웨이트, 카타르, 바레인, 오만 6개국으로 구성된 관세 동맹 형태의 걸프협력회의와의 FTA입니다. 이러한 FTA 체결로 인하여 우리나라는 오일머니에 대한 접근이 더욱 용이해졌고, 개척되지 않았던 중동 시장에 우리나라 반도체, 자동차 및 기계류 등의 수출에 탄력을 받을 예정입니다.

 

한-중동 걸프협력이사회와의 FTA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한국-중동(GCC) FTA 협상 타결(걸프협력회의)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나라와 중동 6개 국가가 FTA 협상을 타결하였다는 소식을 들고 왔습니다. 이로써, 한국은 미지의 영역이었던 중동 쪽 국가까지 FTA 타결을 함으로써, FTA 지도를 더 넓혀나

cshelp.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GCC FTA 효력과 유의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한-GCC FTA 예상 효과

관세 철폐 및 감축

 한-GCC FTA 협상은 10년 이상 중단됐다가 2022년 협상이 재개돼 2023년 12월 28일 최종 타결되었으며, 올해 말 정식 서명 후 내년 협정발효를 추진 중에 있습니다. 

 

 한국과 사우디아라비아를 포함한 GCC 6개국은 협상을 통해 품목수로 우리 측은 89.9%, GCC 측은 80.5%를 개방하기로 하였습니다. 

 

 우리 측 주요 양허품목은 천연가스, 알루미늄 등과 대추야자, 홍차 등 농축수산물 등의 수입품에 양허를 하였고, GCC 측은 자동차, 자동차부품, 무기류, 기계류, 화학제품 및 화장품 등에 주로 양허를 하였습니다. 

 

 서비스 분야에서는 영화, 비디오 배급서비스 개방, 의료기관 현지 개원 허용 및 현지 법률자문 로펌 설치 시 지분제한 조항 삭제 등으로 해당 분야의 우리 기업의 중동진출 활성화에 기여할 예정입니다. 

 

자동차, 석유화학제품, 화장품 중심 수출액 증가

 작년 한-GCC 교역액은 공통적으로 감소했는데 주요 GCC 국가의 수입품목인 원유의 가격 하락에 따른 수입액 감소에서 기인한 것으로 본 반면, 수출액은 2022년 대비 증가율을 보이는 가운데 주요 수출 품목은 자동차, 건설중장비, 석유화학제품, 고무 타이어, 화장품 등으로 보입니다.

 

 GCC는 막대한 국부펀드를 활용한 제조업 중심으로 미래 먹거리 투자 확대처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또한 포스트 오일 시대 대비를 위한 제조업 중심의 미래산업 육성과 서비스 산업 확장 및 디지털전환과 에너지 전환을 위한 인프라 관련 프로젝트도 추진 중에 있어서 우리 기업의 활발한 투자처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수출유망 품목은 뷰티, 자동차, 헬스케어 산업

 코트라는 한-GCC FTA 타결로 K-콘텐츠 확산에 따른 뷰티 산업, 사막 모래폭풍과 높은 기온 등 기후에 따른 자동차 수명 단축에 따른 자동차 산업, 헬스케어 소비 증가에 따른 의료기기, 도시와 제조업 인프라 확충에 따른 건설기계류와 부분품 등을 중심으로 수출이 활발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국가별 수출 유망품목

국가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오만 바레인
수출 유망 품목 정형외과기기
화장품
화물자동차
승용차
화장품
의료기기
자동차부품
엔진과 부분품
화장품
열교환기 등 가열기
화장품
의료기기
화장품
승용차
자동차부품

한-GCC FTA 유의사항

 위와 같은 어마어마한 잠재력이 있는 FTA이지만, 국가의 특성에 따라 전략을 잘 수립해야 합니다.

우리 기업이 GCC 국가들과 협력하기 위해서는 이슬람 율법을 기반으로 한 국가별 특성에 따른 전략 수립이 필요합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FTA로 다수의 품목에 규제 및 관세가 완화될 예정이나 이슬람 율법에 반하는 주류, 돼지고기 및 가공식품, 이슬람 외 종교 물품은 여전히 제한을 두고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쿠웨이트는 모든 수출품목은 관련 인허가기관에 제품등록 및 수출 허가를 취득해야 하며 수입자가 수출자를 대신해 절차를 수행해야 합니다. 또 품목별 필수서류, 소요기간이 상이하고 지침변동이 잦은 편으로 지속적으로 이러한 변동을 확인하여 경험이 풍부한 파트너사 선정이 중요합니다.

 

 아랍에미리트는 테스트베드와 거점화 전략을 위한 재수출 허브로 FTA 효과 활용을 통한 현지시장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략수립이 마련돼야 합니다. 

 

 오만은 자국민 의무고용 준수화와 프로젝트 수주 시 현지화 비율을 주의해야 합니다. 

 

 카타르는 종교적 관습이나 관행에 위배되는 제품, 서비스는 상시 제재가 가능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며, 외국인투자법 및 자국 산업 육성 정책을 활용한 현지 진출기회를 모색해야 합니다. 

 

 바레인은 WTO 정부조달협정(GPA) 수준으로 비차별 투명성 원칙 합의 및 상호시장 개방함에 따라 조달 프로젝트 참여기회 확대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오늘은 올해 말 국회 서명을 통해 정식 발효를 시작할 중동 걸프협력이사회와의 FTA인 한-GCC FTA에 대하여 추후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 역량 산업과 품목 그리고 유의사항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