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국 산업을 살리기 위해 수입산 철강과 알루미늄에 25% 관세를 부과하기로 2025년 3월 12일 오후 1시부터 발효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품목인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의 경쟁력에 위기가 찾아왔습니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수출한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이 미국에서 수입할 때 25% 관세 부과 대상에 해당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미국 25% 관세부과 대상 철강 및 알루미늄 파생제품 유의사항
미국이 모든 철강 및 알루미늄 파생제품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기로 함에 따라, 철강이 분류되는 제73류 물품과 알루미늄 제품이 분류되는 제76류 물품 외에 기계가 분류되는 제84류 제품이나 제85류 제품, 철제 또는 알루미늄으로 만든 가구류가 분류되는 제9403호, 조명기구가 분류되는 제9405호 및 조립식 건축물이 분류되는 제9406호까지 다양한 물품이 그 대상이 되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HS CODE 6 단위 까지는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고, 나머지 7 단위부터는 각 국의 국내법에 따라 HS CODE를 분류하고 있으므로, 우리나라 수출물품이 미국에서 수입될 때 어떤 HS CODE로 수입이 되며, 25% 관세부과 대상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여야 합니다.
미국-한국 관세율표 연계표 개요
아래 첨부드리는 연계표는 3월 12일 오후 13:00시(한국 시간 기준) 미국이 철강, 알루미늄 제품 및 그 파생제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함에 따라, 우리 수출 제품이 부과 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작성된 표입니다.
미국의 HTS 품목번호(Harmonized Tariff Schedule)와 한국의 HSK 품목번호(Harmonized System Korea)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HS(Harmonized System, 국제통일상품분류체계)를 기반으로 각 국에서 운영하는 품목분류 체계입니다.
같은 제품이라도 한국과 미국에서 사용하는 품목번호가 다를 수 있으므로, 수출 시 적용되는 HTS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당 연계표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관세청에서 만들어 배포한 연계표이므로, 정확도에 신뢰성이 있을 것으로 보이며, 미국이 공개한 HTS 품목을 총 294개의 HSK(한국품목번호) 10 단위 품목으로 연계한 표입니다.
미국-한국 관세율표 연계표 공유
관세청에서 배포한 미국-한국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과 파생제품에 대한 HS CODE 연계표를 공유드립니다.
해당 파일을 참고하실 때 아래 사항을 유의하셔야 합니다.
1. 동 연계표는 법적 효력은 없으며, 미국 품목번호에 대한 최종 판단은 미국 관세당국의 권함임을 유의하여야 합니다.
2. 부과세율(D)에 25%는 전체가 철강 및 알루미늄으로 만든 제품에 부과하는 것으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3. 부과세율(D)에 '함량과세'로 표시된 품목은 제품의 철강 및 알루미늄 함량의 가치에 따라 관세가 결정됩니다.
※ 함량을 모르는 경우 물품 전체 가치를 기준으로 세금을 신고하여야 합니다.
오늘은 미국의 수입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대하여 2025년 3월 12일부터 25%의 관세를 부과함에 따라 미국으로 수출하는 한국 기업들이 우리가 수출하는 물품이 25% 관세 부과대상인지 검토할 수 있는 자료를 공유해 드렸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통관(수입,수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송물품과 탁송품, 전자상거래물품 정의,차이와 통관 절차 (0) | 2025.04.02 |
---|---|
세관 검사로 수입물품 손상 시 보상받는 방법 (0) | 2025.04.01 |
지식재산권 보호를 위한 해외 상표검색 방법 (0) | 2024.12.16 |
할랄(HALAL)인증의 개념과 절차에 대해 알아보자(Feat. 지원사업) (0) | 2024.12.04 |
수출입신고 오류점수, P/L정지 기준과 검사비율 확인 (0) | 2024.11.20 |
CS AGENT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